HOME > 정보센터 > 보도자료

: 247

: 관리자 : 2023년 5월 9일 (화), 오전 12:00

[조선비즈] 화장실서 집단구타 ‘학폭’, 앞으로 불가능…AI로 안전관리 나선다

학생 등하교 시각·현재 위치, 학부모·교사가 실시간 확인 가능해져
점심시간에 급식실 뛰어가다 넘어질 뻔한 학생에겐 ‘주의 당부’ 메시지

학교 방과 후 화장실에서 몇 명이 학생들이 한 명의 학생에게 욕설을 하며 집단 구타하는 ‘학교 폭력’이 앞으로는 발생할 수 없게 된다. 화장실에 설치된 소리 센서로 학폭 발생 사실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학교의 보안담당자와 학교전담경찰관에 통보해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AI 기반 차세대 원격통합관제시스템 서비스 예시. /교육부 제공
교육부는 9일 이같이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와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학교 복합시설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3년 민관협력 공공 혁신 플랫폼 구축 지원 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 교육부는 과기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협업해 2024년까지 시스템을 개발하고, 2025년부터 시범 운영한 뒤 전국으로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학교 복합시설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은 AIIoT가 수집하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해 학생 안전 서비스, 출입자 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시스템이 개발되면 학교 곳곳에 설치된 지능형 폐쇄회로(CC)TV와 지능형 사물인터넷(AIoT) 센서로 각종 정보를 수집해 학교 안전을 강화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학교 출입통제를 강화할 수 있다. 학생과 교사, 학부모 등 사전에 승인받은 방문객만 학교에 출입할 수 있도록 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개최되는 ‘지역주민 교육 과정’에 참석하기 위해 학교를 방문한 주민이 학교보안관에게 신분증을 제출하면, 학교보안관은 스캐너로 방문자가 성범죄 이력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학생보호구역으로 잘못 접근한 방문객의 휴대전화에 경고 알림도 보낼 수 있고, 현재 위치에서 강의실까지 이동경로도 안내할 수 있다. 학부모와 교사는 더 안심할 수 있게 된다. 학생의 등하교 시각과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AI 기반 차세대 원격통합관제시스템 서비스 예시. /교육부 제공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점심시간에 학생이 급식실에 가기 위해 계단에서 급하게 뛰어 내려가다 넘어질 뻔한 일이 발생하면 학생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학교 관리자에게 사고 위험 가능성과 위치 정보를 전달해 미끄럼 방지 장치 보강 등 유지 보수 조치에 나설 수 있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화재 감지 센서를 시스템과 연동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실시간 신고, 최적의 대피 동선 안내도 가능해질 것으로 교육부는 보고 있다.

교육부는 학생과 이용자의 인권·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학교 내 원격 통합관제 시스템 설치·운영을 위한 규정’(가칭) 등 관련 기준도 마련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박성민 교육부 교육자치안전협력국장은 “개별 학교에서 인력에 의존하는 학교·학생 안전관리 체계를 AIIo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 운영·관리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라며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 정책에 부응하는 교육부 핵심과제가 될 것”이라고 했다.
 

AI 기반 차세대 원격통합관제시스템 서비스 예시. /교육부 제공


목록으로